장수수당은 지자체가 고령 어르신의 장수를 축하하고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돕기 위해 지급하는 현금성 복지제도입니다. 지역별로 대상 연령, 거주 기간, 지급금액, 신청 절차가 크게 다르며, 일부 지역은 제도를 폐지하고 기초연금 등 다른 복지로 대체하기도 합니다. 아래에 지역별 상세 기준과 신청 방법, 폐지된 사례, 유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
지역별 제도 상세 안내 (안산·인천·보은·제주·광주 남구·하남)
① 경기도 안산시
- 지원대상: 만 85세 이상, 지급기준일 현재 안산시 1년 이상 거주 / 기초연금 수급자 제외
- 지급금액: 장수수당 월 30,000원 / 100세 축하금 1회 500,000원(100세 도달 시)
- 신청방법: 거주지 동 행정복지센터 방문(주민등록증, 통장 지참). 지급개시: 신청 다음 달 15일부터, 지급방법: 구청장이 계좌로 직접 입금
- 문의: 상록구청 주민복지과 031-481-5213 / 단원구청 주민복지과 031-481-6217
- 근거: 안산시노인장수수당지급조례
② 인천광역시
- 지원대상: 지급기준일 현재 인천시에 3년 이상 계속 거주한 만 90·95·100세 도달자(3년간 관외 이동 이력 없어야 함)
- 지급금액: 만90세 연 300,000원 / 만95세 연 500,000원 / 만100세 연 1,000,000원
- 지급시기: 매월 30일
- 비고: 지급기준일은 주민등록상 생일
③ 충청북도 보은군
- 지원대상: 만 90세 이상, 보은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1년 이상 계속 거주(예: 1931.12.31. 이전 출생 기준 예시)
- 지급금액: 월 30,000원(만 90세 도달 월부터, 신청월부터 지급)
- 지급방법: 매월 25일까지 대상자 명의 계좌로 지급(중지 사유 발생 시 해당 월까지)
- 신청: 읍·면사무소에 장수노인수당 신청서 제출
- 문의: 보은군 주민복지과 노인복지팀 043-540-3824
- 근거: 보은군 장수노인 수당 지급 조례
④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지원대상: 제주특별자치도에 주민등록을 둔 80세 이상 전 노인
- 지급금액: 월 25,000원(2011.1.18. 조례 개정으로 20천원 → 25천원)
- 지급시기: 매월 20일(매월 15일 기준 주소지 읍·면·동에서 급여 결정)
- 중지: 사망, 타 시·도 전출 등 사유 발생 달까지 지급
- 신청: 주소지 읍·면·동 방문
- 문의: 제주시청 노인복지과(장수수당) 064-728-2496
- 근거: 제주특별자치도 장수노인수당 지급 등에 관한 조례(최종 반영일 2025-06-26)
⑤ 광주광역시 남구
- 장수축하금: 100세 도달 시 1회 1,000,000원(신청일 기준 남구 5년 이상 계속 거주)
- 장수효도수당: 3세대 효도가정(대상자 80세 이상) 반기별 100,000원(신청일 기준 5년 이상 계속 거주)
- 신청: 주소지 동 주민센터에 신청서 제출(장수효도수당 신청 시 장수축하금 신청으로 갈음)
- 문의: 남구 으뜸효정책과 062-607-3462
- 근거: 광주광역시 남구 효행 장려 및 지원에 관한 조례
⑥ 경기도 하남시
- 지원대상: 1926.12.31. 이전 출생 & 2016.01.01. 이전부터 하남시에 계속 거주 중인 장수노인
- 지원내용: 장수수당 월 30,000원
- 신청: 관할 동 행정복지센터 방문(본인 또는 대리)
- 구비서류: 장수수당 신청서, 주민등록초본, 주민등록증, 통장 사본
- 문의: 노인장애인복지과 031-790-5511
- 근거: 하남시 장수수당 지급 조례
폐지된 사례와 배경 (서울 서대문구·동대문구)
서울 서대문구
- 2006.05.09. 제정(조례 제703호)된 장수축하수당을 폐지.
- 폐지 배경: 2008.01.01. 기초노령연금법 및 시행령 시행으로 유사 성격의 급여가 도입되어 중복 지원 방지 차원에서 폐지.
- 입법 경과: 2007.12.26.~2008.01.05. 입법예고, 제출 의견 없음. 공포 즉시 시행.
서울 동대문구
- 2016년 12월까지 장수축하금 지급, 2017.01.01. 조례 폐지로 현재 지급하지 않음.
- 문의: 구청 동행과 02-2127-4414, 이문2동주민센터 02-2171-6494
신청 전 체크리스트 · 유의사항
1) 거주 요건: 대부분 1~5년 이상의 ‘계속 거주’가 필요합니다. 관외 전출 이력이 있으면 제외될 수 있으니 주민등록 이동이력을 먼저 확인하세요.
2) 연령 요건: 지역별로 80세(제주)부터 85세(안산), 90세(인천·보은), 100세(축하금) 등 기준이 다릅니다.
3) 중복 제한: 안산처럼 기초연금 수급자 제외 조건이 있는 곳도 있습니다. 사전 확인이 필수입니다.
4) 지급 주기/금액: 월 25,000~30,000원(정기) 또는 500,000~1,000,000원(100세 축하 1회) 등 지자체별 편차가 큽니다.
5) 신청 절차: 대다수 동 행정복지센터(읍·면·동) 방문 신청이며, 신분증·통장(사본)이 기본. 하남은 초본, 신청서 필요.
6) 지급 개시/중지: 안산은 신청 다음 달 15일부터 지급, 제주는 매월 15일 기준 결정 후 20일 지급. 사망·전출 등은 해당 월까지 지급이 일반적입니다.
7) 폐지 지역: 서대문·동대문처럼 제도를 운영하지 않는 곳도 있으니, 거주지 조례 또는 담당 부서에 최신 여부를 확인하세요.
결론: 장수수당은 어르신의 장수를 기리고 생활 안정을 돕는 의미 있는 제도입니다. 다만 지역별 기준·존재 여부가 다르므로, 거주지 행정복지센터에 대상 연령·거주 요건·기초연금 중복 제한을 꼭 확인한 뒤 신청하세요. 본문에 지역별 전화번호와 조례 근거를 함께 정리했으니, 조건에 맞으면 지금 바로 문의해 놓치지 않고 지원받으시길 바랍니다.
'정부혜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 효도수당 신청 안내 (남동구, 동구, 수원 비교) (6) | 2025.08.08 |
---|---|
65세 이상 인천 시민 필독! 시니어 교통카드 신청 방법 및 혜택 총정리 (3) | 2025.08.07 |
방문목욕 A to Z (신청자격, 차량운용, 급여비용) (2) | 2025.08.06 |
어르신 스포츠 상품권, 나도 받을 수 있을까?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3) | 2025.08.05 |
노인일자리 지원사업 총정리 (공익활동, 민간취업, 공동체형) (8) | 2025.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