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종 치매환자 예방 및 찾기 지원사업은 실종 위험이 높은 치매 어르신의 실종을 사전에 예방하고, 실종 발생 시 신속하게 복귀를 돕기 위한 정부의 공공복지 서비스입니다. 치매환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가족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인식표 보급, 배회감지 앱, 유전자 대조, 홍보물 제작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1. 왜 실종 치매노인 예방이 중요한가?
치매 어르신은 기억력 저하와 판단능력 감소로 인해 자주 길을 잃거나, 익숙하지 않은 장소로 이동해 실종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합니다. 매년 수천 건의 실종신고가 접수되고 있으며, 조속히 발견되지 못한 사례는 장기 실종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실종 자체를 막고, 실종 시에는 최대한 빠르게 가정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통합적인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치매환자 개인의 안전은 물론, 가족의 삶의 질을 지키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2.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 보급사업
실종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가장 기초적으로 시행되는 사업은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 보급’입니다. 치매환자의 신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제작된 이 인식표는 외출 중 실종 시 빠른 복귀에 큰 도움이 됩니다.
- 발급대상: 실종 위험이 있는 치매환자 및 만 60세 이상 어르신
- 신청기관: 치매안심센터 본소 및 분소 https://incheon.nid.or.kr/information/ansim_center_find/list.aspx
- 신청기간: 연중 수시
- 보급내용: 회당 인식표 1박스(80매) + 보호자 보관용 실종대응카드 1매
- 비용: 무료 (치매안심센터 사업비로 지원)
해당 인식표는 부착이 간편하며, 경찰이나 행인이 실종자를 발견했을 때 즉시 보호자 연락처를 확인하고 귀가를 도울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습니다.
3. 치매체크 앱 배회감지 서비스
치매체크 앱은 보건복지부에서 개발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치매 어르신과 보호자의 스마트폰을 연동해 실시간 위치 확인이 가능한 서비스입니다.
- 치매환자의 스마트폰에 앱 설치
- 보호자의 스마트폰과 연동
- 배회 시 실시간 위치 파악 및 알림
- ‘안심구역’ 설정 가능 – 이탈 시 알림 발송
이 앱은 안드로이드 및 iOS 양쪽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보호자가 설정한 안심구역을 벗어날 경우 실시간으로 경고 메시지를 받아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치매체크앱 사용방법 가이드 (치매안심센터 제공)
4. 실종 치매노인 찾기 지원 서비스
실종이 발생한 경우, 가족이 경찰청에 신고하면 다양한 연계 서비스가 즉시 가동됩니다. 다음은 실종자 찾기를 위한 주요 지원 내용입니다:
1) 온/오프라인 홍보 지원
실종 신고일로부터 7일이 경과한 경우, 보호자가 원할 시 다양한 홍보물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전단지: 4,000장
- 스티커: 1,000장
- 현수막: 1개
TV, 인터넷, 신문, 노인복지시설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실종자의 정보를 공유하고 시민들의 인지율을 높여 조기 발견을 유도합니다.
2) 무연고노인 자동 대조 서비스
경찰에 실종신고된 치매노인과 보호시설 및 정신의료기관에 등록된 무연고노인의 정보를 자동으로 비교합니다.
- 대조 항목: 성별, 신장, 몸무게 등 기본 신체정보
- 제출 주체: 보호시설 및 기관에서 무연고노인 신상카드 제출
- 근거 법령: 실종아동법 제6조, 노인복지법 제39조의 10
3) 유전자 대조 서비스
무연고 치매노인의 신원 확인을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유전자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합니다.
- 무연고노인의 유전정보와 실종 치매환자 가족의 유전정보를 대조
- 일치 시 실종자 가족에게 통보
- 정확한 신원 확인이 가능해 장기 실종자 확인에 효과적
5. 신청 및 문의
실종 예방 및 찾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아래 기관을 통해 상담 및 신청이 가능합니다.
- 신청기관: 전국 치매안심센터
- 신청방법: 방문 접수, 유선 문의
- 대표문의: 중앙치매센터 콜센터 ☎ 1899-9988
치매안심센터에서는 인식표 신청, 치매체크 앱 연동, 실종자 찾기 홍보물 요청 등 모든 지원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안내해 드립니다.
6. 결론
실종 치매환자 예방 및 찾기 지원사업은 치매 어르신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고, 가족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필수 공공서비스입니다. 인식표와 스마트기기, 유전자 분석까지 다양한 기술과 정책이 접목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한 명의 실종도 소외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치매환자를 둔 가정에서는 지금 가까운 치매안심센터에 문의하시고, 사전에 예방조치를 시행하시길 바랍니다. 준비된 한 걸음이 생명을 지킬 수 있습니다.
'정부혜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 (치매진료, 방문의료, 비용지원) (5) | 2025.08.03 |
---|---|
치매공공후견사업 완벽 안내 (지원대상, 신청방법, 활동내용) (3) | 2025.08.02 |
노인 실명예방사업 총정리 (지원대상, 수술비, 신청방법) (6) | 2025.08.02 |
노인 무릎인공관절 지원제도 (수술비, 신청방법, 제외항목) (8) | 2025.08.01 |
55세 이상 주택연금 혜택 완벽 가이드 (가입요건, 방식, 세금감면) (1) | 2025.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