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혜택정보

어린이집 보육료·유치원 유아학비, 헷갈리는 정부지원 완벽 해설

by 든든연금이 2025. 8. 30.

어린이집유치원정부지원

어린이집과 유치원, 그리고 정부 보육지원 혜택은 부모님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입니다. 하지만 연령에 따라 달라지는 지원 체계, 보육료와 유아학비의 차이,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개념 등은 헷갈리기 쉽습니다. 이 글에서는 출생부터 초등학교 입학까지, 연령별로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부모급여, 보육료, 유아학비, 누리과정, 연장형 보육 등 핵심 키워드를 모두 담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냈습니다.

 

1. 보육지원, 연령별로 이렇게 달라집니다

부모가 가장 헷갈리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언제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입니다. 정부 보육지원은 연령별로 명확한 기준이 정해져 있습니다.
초등학교 입학 기준은 ‘만 6세’이기 때문에, 보육지원은 만 0세부터 만 5세까지 적용됩니다. 아래의 정리표를 보면 이해가 쉽습니다.

  • 만 0~2세: 부모급여 또는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
  • 만 3~5세: 누리과정 (유치원 유아학비 / 어린이집 보육료)
  • 만 6세 이후: 보육료 지원 종료 → 초등학교 무상교육 대상

※ 주의: 건강상 사유로 취학유예(1년)를 신청하면, 만 5세 기준의 보육료를 1년간 더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즉, 보육지원은 ‘만 나이 6세 이전까지’라는 것이 핵심입니다.

 

2. 어린이집 vs 유치원, 무엇이 다를까?

많은 부모들이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혼동합니다. 실제로 비슷해 보이지만, 법적 근거와 목적, 대상 연령이 다릅니다.

구분 어린이집 유치원
법적 근거 영유아보육법 유아교육법
목적 보육 + 교육 교육 중심
대상 연령 만 0~5세 만 3~5세
종류 국공립, 직장, 가정, 민간 등 다양 국립, 공립, 사립 유치원

✔ 어린이집은 더 어린 연령(0~2세)부터 이용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입니다.

이용방법:
유보통합포털 https://enter.childinfo.go.kr에서 어린이집·유치원 검색 및 입소·입학 신청 가능

 

3. 부모급여: 만 0~1세, 가정양육 시 지원

부모급여대폭인상
출처: 보건복지부

부모급여만 2세 미만(0~23개월) 아이를 가정에서 양육할 경우 제공되는 현금 지원입니다.
2024년부터 금액이 대폭 인상되어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 만 0세 (0~11개월): 월 100만원
  • 만 1세 (12~23개월): 월 50만원

어린이집 이용 시엔?
- 만 0세: 보육료 54만원 + 현금 46만원
- 만 1세: 보육료 51.4만원 + 현금 2.5만원

신청방법: 복지로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4. 영유아 보육료: 어린이집 이용 시 지원

만 0~5세 아이가 어린이집을 이용할 경우, 보육료가 국가에서 지원됩니다.

  • 만 0세: 540,000원
  • 만 1세: 475,000원
  • 만 2세: 394,000원
  • 만 3~5세: 280,000원

추가 돌봄(연장 보육)이 필요한 경우 시간당 추가 지원도 가능합니다:
- 영아반: 2,000원
- 유아반: 1,000원
- 장애아동: 3,000원

신청: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문의: ☎ 1566-3232

 

※어린이집 보육료는 국가에서 지원해 결제는 0원으로 처리되지만, 특별활동비나 간식비 같은 소소한 비용은 따로 발생할 수 있고 현금으로 돌려받는 건 아닙니다.

 

5. 유아학비: 유치원 다니면 누리과정 지원

만 3~5세 유아가 유치원에 다니는 경우, 누리과정 유아학비를 지원합니다.

항목 국공립 사립
교육과정 지원금 100,000원 280,000원
방과후 과정 지원금 50,000원 70,000원
저소득층 유아학비 지원 없음 200,000원

신청방법: 복지로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문의: ☎ 1544-0079

 

※어린이집은 국가 지원으로 사실상 0원 결제가 가능하지만, 유치원은 국공립·사립 모두 일정 부분 부모 부담이 남아 완전 무료는 아닙니다.

 

6. 가정양육수당 & 아동수당

어린이집, 유치원 등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일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가정양육수당: 만 2세 이상 ~ 6세 미만, 월 10만원
    ※ 장애아동, 농어촌아동은 최대 20만원까지 차등 지급
  • 아동수당: 만 8세 미만 모든 아동에게 월 10만원

신청: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7. 연장형/야간/24시간 보육료 지원

맞벌이, 한부모, 조손가정 등을 위한 시간 연장 보육도 지원됩니다.

  • 야간연장 보육: 19:30~24:00, 월 60시간 이용 가능
  • 야간 12시간 보육: 19:30~익일 07:30 (주간 미이용 조건)
  • 24시간 보육: 07:30~익일 07:30, 지정 어린이집만 가능
  • 휴일 보육: 토요일 제외한 공휴일 제공

신청: 복지로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문의: ☎ 1566-3232 / ☎ 1661-9361

 

어린이집과 유치원은 개념부터 지원 방식까지 다르며, 부모님들이 혼란스러워할 수 있는 요소가 많습니다. 하지만 오늘 설명한 연령 흐름표와 지원 항목별 정리를 참고하면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복지로 사이트와 유보통합포털을 잘 활용하고, 아이의 나이에 맞춰 부모급여, 보육료, 유아학비, 연장보육 등을 꼼꼼히 챙기세요. 정부는 부모의 양육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다방면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지원 대상과 조건을 정확히 이해하고 신청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